
여행객을 위한
100% 무료 가이드북
여행사 근무 노하우로 만든 가이드북
그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여행 꿀팁
할인 & 쿠폰 제공
투어캐스트는 여행객을 위해 일정을 쉽게 짤 수 있게 가이드 라인을 제시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여행을 즐길 수 있게 도와줍니다.
문의: tourcast.help@gmail.com
(여행관련 문의는 앱 내의 Q&A에 올려주세요!)
전체 가이드북은
투어캐스트 앱으로 만나보세요!



투어캐스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거하여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AI학습 포함)을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배너를 통해 상품 구매 시 소정의 수수료를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2023. 투어캐스트 Co. All rights reserved.
도쿄 열차 체계
일본 여행을 준비하다 보면, 흔히 '환승할 때마다 추가로 돈을 지불해야 한다'는 말을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이는 아마도 많은 여행자들이 도쿄의 복잡한 교통 체계에 대해 심리적인 부담을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투어캐스트에서는 이러한 복잡함을 도쿄 여행이 처음인 분들의 눈높이에 맞춰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자 한다.
- 아래 내용은 '공통 2편 -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해당 내용을 먼저 읽은 후 이 문단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열차 구분 🚇
우리나라에서는 전철과 지하철이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지만, 일본에서는 지상과 지하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지상으로 운행하는 열차를 '전철', 지하로 운행하는 열차를 '지하철'로 구분한다.
- 지하철: 오른쪽 9개 노선은 메트로(Metro), 왼쪽 4개 노선은 도에이(都営)
- 전철: JR선, 사철(오다큐선, 유리카모메선 등)
2024년 12월 21일부터, 도쿄 지하철 및 전철 노선 중 오오에도선, 아사쿠사선, 케이큐선 일부 역에서 신용카드 또는 트래블카드로 터치 결제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도쿄는 아직까지 컨택리스 카드 사용이 제한적이며, 오사카나 후쿠오카에 비해 도입 역이 적다. 따라서 도쿄 여행 시에는 교통카드 사용이 기본이라 보면 된다.
- 카드에 와이파이 모양(🛜)이 있어야 컨택리스 결제 가능
- Master 카드 계열은 결제 불가
JR선 🚆
서울에 지하철 2호선이라는 순환선이 있다면, 일본 도쿄에는 JR 야마노테선이라는 순환선이 있다.
서울 2호선에 강남, 잠실, 홍대입구 같은 중심 역들이 있는 것처럼, 야마노테선에도 신주쿠, 시부야, 도쿄, 우에노 등 주요 관광지가 연결되어 있다.
서울의 홍대입구역을 신주쿠역으로, 잠실역을 도쿄역으로 비유해보면 이해가 쉽다. 서울에서 홍대입구에서 잠실까지 2호선을 타면 약 40분이 걸린다.
만약 이 구간을 가로질러 한 번에 이동하는 노선이 있다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겠지만, 서울에는 그런 노선이 없다.
하지만 도쿄 JR선에는 이러한 아쉬움을 해소해주는 '직통 노선'이 있다. 그것이 바로 주오선(中央線)과 주오·소부센 가쿠테선(中央・総武線 各駅停車)이다.

위 이미지에서 보듯이, 신주쿠역에서 도쿄역까지 야마노테선(녹색)을 이용하면 시나가와 쪽으로 순환하며 전 구간 정차하므로 약 33분이 소요된다.
반면, 주오선(주황색)은 신주쿠에서 도쿄까지 13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20분 가까이 단축되며 순환선의 단점을 보완하는 셈이다.
단순히 가로질러 간다고 빠른 것은 아니고, 신주쿠 → 요츠야 → 오차노미즈 → 간다 → 도쿄처럼 소수 역만 정차하는 급행 열차이기 때문에 가능한 속도다.
그렇다면 주오선과 주오·소부센 가쿠테선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먼저 '가쿠테(各駅)'라는 단어 그대로, 주오·소부센 가쿠테선(노란색)은 모든 역에 정차하는 열차다.
이 노선은 신주쿠역에서 출발해 오차노미즈역에서 아키하바라 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신주쿠 → 아키하바라 구간을 이동할 때 활용된다.
신주쿠 역 - 도쿄 역 구간의 이동 방법은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주오·소부센 가쿠테선만 탑승: 약 18분
- 주오선 급행 + 오차노미즈 환승: 약 12분
- 야마노테선 이용 시: 약 37분 소요
참고로, 서울 2호선은 상·하행을 음악 소리로 구분하는 반면, 야마노테선은 남성/여성 목소리로 구분한다.
이런 작은 디테일까지 알고 탄다면 도쿄 여행이 더 즐거워질 것이다.
전철 🚈
도쿄의 대표적인 사철(전철)로는 오다이바행 유리카모메, 하코네행 오다큐선 등이 있다. 이러한 노선들은 일반적인 지하철이나 JR선에 비해 요금이 더 비싼 편이다.
그러나 노선별로 교통패스가 잘 마련되어 있어, 패스를 활용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사철 노선은 JR 야마노테선을 기준으로 도심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외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대도시 전철 진입 금지 정책'에 따른 것으로, 야마노테선 내부에는 진입하지 않는다.
- 신바시역과 연결된 유리카모메
- 하마마츠쵸역에서 하네다 공항까지 연결되는 도쿄 모노레일
- 신주쿠역과 연결된 오다큐선 등
지하철 🛤️
도쿄의 지하철은 민간 기업이 운영하는 9개 노선의 '도쿄 메트로(Metro)'와 도쿄도가 운영하는 4개 노선의 '도에이 지하철(都営)'로 나뉜다.
이 구분은 한국 여행객들이 도쿄 지하철 이용 시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부분 중 하나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도쿄 메트로 소속 9개 노선끼리 환승할 경우 추가 요금이 없고, 도에이 지하철 4개 노선끼리 환승할 경우에도 추가 요금이 없다.
그러나 도쿄 메트로와 도에이 지하철 간 환승 시에는 추가 요금이 발생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위 이미지처럼 왼쪽의 M 모양 로고는 도쿄 메트로, 오른쪽의 단풍잎 모양 로고는 도에이 지하철을 의미한다.
- 도쿄 메트로 9개 노선: 긴자선, 마루노우치선, 히비야선, 도자이선, 치요다선, 유라쿠초선, 한조몬선, 난보쿠선, 후쿠토신선
- 도에이 지하철 4개 노선: 아사쿠사선, 미타선, 신주쿠선, 오에도선
투어캐스트만의 꿀팁!
구글맵 경로 검색에서 노선 구분 방법
꿀팁 전체 내용은
투어캐스트 앱에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일 밤새도 찾지 못하는 정보를 30분만 보면 다 알 수 있습니다."
투어캐스트 앱만의 매력 Point!
- 가이드북 등 모든 기능 100% 무료
- 투어캐스트만의 꿀팁 공유!
- 교통카드 리더기
- 일본감성 카메라, 필터
- 여행일본어 음성 지원, 메뉴판 번역 등
- 각종 할인 쿠폰 제공
- 여행준비물 체크리스트
- Q&A 게시판 운영
환승방법 🔄
도쿄 여행을 준비하면서 가장 헷갈리고 머리 아픈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전철과 지하철 간 환승일 것이다.
투어캐스트는 도쿄 교통 체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초보 여행자의 눈높이에 맞춰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 있으니, 부담 갖지 말고 차근차근 함께 알아보자.
1) 전철 - 전철
JR선끼리, 혹은 같은 전철(사철) 노선끼리 환승하는 경우는 무료 환승이 적용된다.
2) 전철 - 지하철 환승
JR선 또는 전철 ↔ 지하철(도쿄 메트로·도에이) 간 환승은 운영 주체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편도 요금 + 편도 요금을 각각 지불해야 한다.
3) 지하철 - 지하철 환승
롯폰기역에서 신바시역까지 가는 경로를 예시로, 어떤 조합으로 지하철을 타는지에 따라 요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자.
- 메트로 - 메트로 환승
- 메트로 히비야선 → 메트로 긴자선 환승
- 편도 요금: 170엔 (무료 환승 가능)
- 도에이 - 도에이 환승
- 도에이 오오에도선 → 도에이 아사쿠사선 환승
- 편도 요금: 220엔 (도에이끼리는 무료 환승 가능)
- 다만 도에이 노선은 메트로보다 이용률이 낮은 구간이 많음
- 메트로 - 도에이 환승
- 도에이 오오에도선 → 메트로 긴자선 환승
- 편도 요금: 280엔 (상호간 유료 환승)
- 실제 편도 요금은 180엔 + 170엔이지만 지하철 특수 할인 70엔이 적용되어 280엔으로 책정됨
- 현금 티켓 발권 시에는 280엔권 1장으로 환승 가능
투어캐스트만의 꿀팁!
JR선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때 이용하는 '연락 개찰구'
꿀팁 전체 내용은
투어캐스트 앱에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일 밤새도 찾지 못하는 정보를 30분만 보면 다 알 수 있습니다."
투어캐스트 앱만의 매력 Point!
- 가이드북 등 모든 기능 100% 무료
- 투어캐스트만의 꿀팁 공유!
- 교통카드 리더기
- 일본감성 카메라, 필터
- 여행일본어 음성 지원, 메뉴판 번역 등
- 각종 할인 쿠폰 제공
- 여행준비물 체크리스트
- Q&A 게시판 운영
보통권 사용 시 주의사항 🎫
보통권이란 스이카, 파스모 같은 iC 카드나 교통패스를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현금으로 편도 티켓을 구입하는 것을 말한다.
1) 초과 운임 정산
- 만약 구입한 티켓보다 더 먼 거리로 이동했다면, 개찰구 옆에 있는 노란색 정산기에 기존 티켓을 넣으면 부족한 금액이 표시된다.
- 부족한 요금만큼 현금을 넣으면 새 티켓이 발권되며, 이 새 티켓으로 개찰구를 통과하면 된다.

2) 주황색 개찰구
- 예전 노량진역처럼 환승 통로 없이 외부로 나가야 환승 가능한 역이 도쿄에도 일부 존재한다. 같은 메트로 노선끼리 환승이어도 개찰구를 나가야 하는 구조일 수 있다.
- 보통권(편도 티켓)으로 일반 개찰구를 통과하면 티켓이 회수되어 환승 불가하며, 새 표를 사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주황색 환승 개찰구를 이용해야 기존에 사용한 티켓이 다시 나오고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 주황색 환승 개찰구를 꼭 이용해야 하는 주요 역은 다음과 같다:
- 시부야, 이케부쿠로, 우에노, 미쓰코시마에, 오테마치, 이다바시, 구단시타, 히비야 ⇔ 유라쿠초
- 아와지초 ⇔ 신오차노미즈, 우에노히로코지 ⇔ 나카오카치마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