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객을 위한
100% 무료 가이드북
여행사 근무 노하우로 만든 가이드북
그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여행 꿀팁
할인 & 쿠폰 제공
투어캐스트는 여행객을 위해 일정을 쉽게 짤 수 있게 가이드 라인을 제시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여행을 즐길 수 있게 도와줍니다.
문의: tourcast.help@gmail.com
(여행관련 문의는 앱 내의 Q&A에 올려주세요!)
전체 가이드북은
투어캐스트 앱으로 만나보세요!



투어캐스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거하여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AI학습 포함)을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배너를 통해 상품 구매 시 소정의 수수료를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2023. 투어캐스트 Co. All rights reserved.
오키나와 대표 음식
오키나와 소바
일반적으로 '소바'라 하면 메밀이 들어간 면 요리를 떠올리지만, 오키나와에서는 100% 밀가루 면으로 만든다.
일본 본토에서는 메밀이 30% 이상 함유되어야 '소바'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밀가루만 사용하는 오키나와 소바는 해당 규정상 원래는 '소바'로 불릴 수 없다.
하지만 1978년 10월 17일,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오키나와 소바' 명칭 사용을 공식 허가하면서 '오키나와 소바'로 불릴 수 있게 되었고, 이 날은 오키나와에서 '소바의 날'로 기념된다. 🥢
오키나와 소바는 면을 덜 익히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로 인해 호불호가 갈릴 수 있음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 토핑 종류에 따른 오키나와 소바
- 삼겹살 토핑: 산마이니쿠 소바
- 돼지갈비 토핑: 소키 소바
- 돼지족발 토핑: 테비치 소바
오키나와 소바 전문점에는 종종 한자로 고려약(高麗藥) 또는 코레구스(コーレーグス)라 적힌 매운 소스가 준비되어 있다.
이는 30도 이상의 오키나와 소주 '아와모리(泡盛)'에 고추를 담가 만든 것으로, 소바가 다소 밋밋할 경우 약간 첨가해 먹으면 풍미가 더해진다.
알코올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과다 섭취 시 취할 수 있음. 특히 운전자, 미성년자, 임산부는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고추(🌶️)에 관한 투어캐스트의 견해
많은 사람들이 고추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토우가라시(唐辛子)'라 불리는 반면, 큐슈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고려후추(高麗胡椒)'라 부르는 곳도 있다.
오키나와에 고추가 전파된 시점은 18세기 사쓰마번(현 가고시마)을 통해로 추정되며, 임진왜란 당시 조선인이 끌려간 지역에서 퍼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현재 가고시마에는 고라이마치(高麗町)와 고라이바시(高麗橋)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최근 고추 유전자 분석 결과,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되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로 미루어볼 때 일본 유입설이 아닌 한국 전파설이 더 신빙성 있는 해석으로 여겨진다.
만약 일본에서 유입된 것이라면 일본인들이 한국인보다 더 매운맛에 익숙해야 하지 않을까?
쥬시 (ジューシー)
쥬시는 오키나와 소바와 함께 곁들이기 좋은 사이드 메뉴로, 각종 야채와 고기 등을 넣어 지은 밥요리이다.
일본식 잡곡밥과 비슷한 느낌이지만, 보다 고기 풍미가 강하고 간도 잘 배어 있어 단독으로 먹어도 부담 없는 한 끼가 된다.
오키나와 소바가 입에 잘 맞지 않는다면, 이 쥬시만으로도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

고야 참프루
고야는 우리나라에서는 '여주'로 불리는 열대성 식물의 열매이며, 한국에서는 대체로 생소한 식재료이다.
참프루(チャンプルー)는 '뒤섞다'는 의미의 오키나와 사투리로, 쓴맛이 강한 고야를 다양한 재료와 함께 볶아 만든 요리가 바로 고야 참프루이다.
처음에는 '다른 맛있는 것도 많은데 왜 이런 걸 먹지?' 싶지만, 맥주 안주로 먹다 보면 어느새 익숙해지는 그런 맛이다. 🍻 또한 여주는 혈당을 낮추는 데 효과적인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몸에 좋은 건 입에 쓰다)

'참프루(チャンプルー)'는 '뒤섞다'는 의미를 가지며, 이와 유사한 표현으로 '챠뽕(チャンポン)'이 있다.
해산물과 야채를 섞어 만든 짬뽕이 이 말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을 정도로, 문화적 혼합을 상징하는 음식이다.
우미부도
몸에 좋은 음식을 말할 때 우미부도를 빼놓을 수 없다. 🌿
오키나와의 대표 해초류 중 하나로, 알갱이 모양이 포도처럼 생겼다 하여 우미(바다) + 부도(포도, ブドウ)를 조합해 우미부도라 불린다.
서양에서는 철갑상어 알(캐비어)을 닮았다고 하여 그린 캐비어(Green Caviar)라고도 부르며, 한 입 씹으면 입안에서 바다 향이 톡톡 터지는 독특한 식감을 자랑한다.

모즈쿠(もずく)
오키나와에서 전체 생산량의 약 90%를 차지하는 대표 해초인 모즈쿠는, 한국어로는 '큰실말'이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낯선 식재료이지만, 다시마와 유사한 맛과 식감을 지니며, 초간장 무침이나 식초 절임 형태로 신선하게 즐긴다.

오키나와 주먹밥
오키나와 주먹밥으로 유명한 식당이 바로 '포크타마고'이다.
이곳의 주먹밥(오니기리)은 김, 밥, 스팸 조합으로 하와이의 무스비를 떠올리게 하지만, 계란이 더해져 더욱 담백하고 고소한 맛을 낸다.
익숙한 조합이지만 예상 이상의 맛으로, 한 번 맛보면 자꾸 생각나는 메뉴이다. 🍙

지마미두부(ジーマミー豆腐)
'두부'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콩이 아닌 땅콩으로 만들어지는 오키나와 전통 음식이다.
땅콩을 짜낸 물에 고구마 전분을 넣어 만든 지마미두부는 모양만 두부를 닮았을 뿐, 식감과 풍미는 전혀 다른 별미이다.
한 입 넣으면 쫀득하면서도 고소한 맛이 퍼지며, 디저트처럼 차갑게 즐기는 경우도 많다. 🍮

아구 (흑돼지)
제주도에 흑돼지가 있다면, 오키나와에는 아구가 있다. 🐖
오키나와 흑돼지를 '아구(アグー)'라 하며, 대표적인 요리로는 아구덮밥과 아구 샤브샤브가 있다.
아구 요리로 유명한 맛집은 100년 이상의 전통을 지닌 '백년고가 우후야'이며, 렌트카로 츄라우미 수족관을 방문할 경우 중간 경유지로 들르기 좋은 위치에 있다.

스테이크
오키나와에는 미국 통치기 이후 스테이크 문화가 깊숙이 자리 잡았다.
지금도 전 세계에서 미군이 가장 많이 주둔한 지역 중 하나로, 스테이크 가격이 합리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별한 날이 아니어도 일상적으로 즐길 수 있는 수준의 가격대이다.
대표적인 스테이크 전문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곳이 있다.
- 'HAN'S' 국제거리 마카시점
- 스테이크 88
- 잭스 스테이크
- 샘스 세일러인
- 고베 Bar 나카나카

베니이모 타르트
베니이모(紅いも, 자색 고구마)로 만든 타르트는 귀국 시 기념품으로 인기가 높은 디저트이다.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이 특징이지만, 호불호가 있는 편이므로 먼저 한 개를 시식해본 후 추가 구매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제품에 '원조(元祖)'라는 표시가 있다면 오리지널 레시피를 사용한 정통 제품으로 보면 된다. 🍠
부쿠부쿠 차
부쿠부쿠(ブクブク)는 보글보글 거품이 이는 소리를 의미하며, 이름 그대로 거품을 얹어 마시는 오키나와 전통 차이다.
볶은 쌀을 우려낸 물(오모유, 米湯)에 오키나와의 쟈스민차인 신삥차(さんぴん茶)나 녹차 계열의 반차를 혼합한 뒤, 차선(茶筅)으로 거품을 내어 마시는 방식이다.
과거 류큐 왕국 시대에는 귀족들만 즐길 수 있었던 고급 차로, 현재도 오키나와에서만 체험 가능한 전통 음료이다.
이는 오키나와의 경도가 높은 미네랄 워터에서만 풍부한 거품이 잘 생기기 때문이라고 한다. 🍵

사타안다기(サーターアンダギー)
'사타'는 오키나와 사투리로 설탕, '안다기'는 기름에 튀긴 것을 의미한다.
즉, 오키나와산 흑설탕과 밀가루 반죽을 기름에 튀긴 전통 간식으로, 우리나라의 호두과자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국민 간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고속도로 휴게소나 관광지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바삭한 식감과 은은한 단맛이 특징이다. 🍩

타코라이스
1984년 파라센리(パーラー千里)에서 미군을 상대로 멕시코 전통 음식인 '타코'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엔화 강세로 인해 미군들의 외식 빈도가 줄자, 기존의 또띠아 대신 일본인의 입맛에 맞춘 밥을 사용한 새로운 형태의 요리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것이 타코라이스이다. 🌮🍚
원조 가게인 파라센리는 현재 문을 닫았지만, 그 가족이 운영하는 '킹타코스(キングタコス)'가 오키나와 전역에 6개 매장을 두고 있어 현지 인기 메뉴로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블루씰 아이스크림
오키나와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표 디저트가 바로 블루씰 아이스크림이다. 🍦
1948년, 미군에게 유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퍼모스트'라는 회사가 미군기지 내에 처음 설립한 것이 시초이다.
이후 1963년 우라소에시 마키항(현재의 본점)으로 매장을 옮기며 일반 소비자에게도 판매를 시작했으며,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퍼모스트와 '빙O레' 와의 관계
오키나와에서 자리잡은 퍼모스트는 1972년 당시 '대일유업'(현 빙O레)과 기술 제휴를 맺고, 1974년 국내에서 퍼 먹는 아이스크림 '투O더'를 출시하게 된다.
이후 퍼모스트와의 계약이 종료되며 빙O레라는 이름으로 독자적인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예전 빙O레의 모자 쓴 로고가퍼모스트 로고와 유사하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A&W 버거, 루트비어
루트비어(Root Beer)는 이름에 'Beer'가 붙어 있지만, 알코올이 전혀 없는 탄산 음료이다. 🍺🚫
'사사프라스'라는 식물 뿌리에서 추출하여 만든 이 음료는 미국 원주민들의 전통 음료에서 유래되었고, 한 의사에 의해 건강 음료로 홍보되었다.
처음에는 '루트 티(Root Tea)'라는 이름이었으나, 당시 광부들에게는 '티'보다 '맥주'라는 인식이 더 매력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루트비어'로 명칭이 바뀌게 된다.
1919년, A&W 루트비어 브랜드가 탄생하며 햄버거와의 조합으로 판매되었고, 당시 미국 금주법 시행과 맞물려 큰 인기를 얻게 된다.
미군이 오키나와에 주둔하면서 루트비어 문화도 자연스럽게 전파되었고, 현지인들도 이 음료를 접하게 되었다.
이후 1960년 미국 FDA가 사사프라스 뿌리의 식용을 금지하면서, 현재는 사사프라스 없이 설탕과 향료 등으로 대체한 제품만 유통되고 있다.
물파스를 마시는 느낌이라는 평도 있을 만큼 호불호가 갈리지만, 입으로 청량한 자극을 경험해보고 싶다면 도전해볼 만한 음료이다. 😅
